금리인하 3

[금융교육-가계부채] 가계빛 1,896조? 얼마까지 돼는데?

요즘 가계부채와 연체율 상승이 지속적으로 뉴스에 오르내리고 있다. 분명히 내수경기는 안 좋아지고 그로 인한 빛에 대한 이자를 갚지도 못하는 한계기업과 자영업자가 늘고 있는 건 분명하다. 그리고 이러한 붕괴를 막기 위해서는 금리인하를 통해 숨통을 트게 해 줄 필요가 있다.그리고 또다시 10년 전부터 나온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와 그로 인한 주택가격의 거품 붕괴 전망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가계부채에 대한 우려가 심각해졌던 '14년 국평기 준 파크리오(잠실)의 가격은 8.8억 원에서 '24년에 와서는 23억이 되어있다. 10년간 연간 수익률은 10.09%이고 자산 5억 원에 3.8억 원을 대출하여 현재까지 보유하고 있다면 자산은 5억 원에서 약 19억 원이 되어 4배의 수익 (연간 14.29%)이 되었을 ..

[금융교육-금리인하] 우리도 금리인하 해야지?

미국을 시작으로 한 세계적인 금리인하, 한국도 동참할까? 최근 집을 구매하고자 하셨던 분이라면 "이자 계산기"를 사용해 보셨을 것이다. 집을 구매한다는 것은 금융기관을 통해서 돈을 빌려 구매하는 것이 너무나 당연해진 지금. 아니 남의 돈을 빌리지 않고 집을 구매했거나 집이 없는 사람이 바보가 된 현시점에서는 대출은 필수적으로 보인다. 0.5%의 이자율 하락은 서울 30평대 20억 원을 호가하는 집의 경우 이자비 연간 1천만 원으로 40년 기준 4억 원을 줄일 수 있는 어마어마한 효과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한국의 금리는 여전히 미국의 금리보다 낮은 상황으로 2년전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를 따라가야 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금리를 동결하고 버티기를 시전 한 것이다. 현재 한국의 환율이 예전 1,100~1,2..

[금융교육-경기침체] 장단기 금리차가 경기침체의 사인일까?

2년 전 장단기 금리 역전 이후 연준의 0.5% 빅컷을 단행, 경기침체는 다가올 것인가? 최근 갈수록 소득은 줄어들면서 투자에 좀 더 신경을 쓰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부동산, 주식, 코인이든 경기침체에는 어떤 자산도 그 앞에서 장사는 없다. 그건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 '22년 10월경 장기국채와 단기국채 역전현상이 일어나면서 경기침체의 여진이 나타났다는 기사가 났었다. 그때 말하길 곧 1~2년 사이에 경기침체가 다가올 거라는 전망이 있었으며 다음달이면 그때이후 2년이란 기간이 다 되 간다. 그리고 마침 이번달에 연준의 금리인하가 있었다. (일부 전문가는 장단기 역전이 나타나고 이후 금리인하를 단행한 후 1~2달 안에 경기침체가 온다는 전망도 하고 있다.) 미국연방준비은행 사이트에서는 다양한 경..